728x90
반응형
[Jenkins] Jenkins - Git 연동
이번에는 Github와 Jenkins를 연동해보겠습니다. Github를 설치한 상황이라고 가정하고 시작하겠습니다. Dashboard > Jenkins 관리 > Global Tool Configuration 에 들어갑니다. Git 정보를 입력합니다. > 입력 후 맨
lakelight.tistory.com
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Git에서 Push 했을 때 자동으로 빌드파일을
만들도록 스크립트를 수정하였습니다.
Jenkins 자동 빌드 솔루션
원래 기존 Pipeline Script 코드입니다.
pipeline{
agent any
stages{
stage('Checkout'){
steps{
git branch: 'master',
credentialsId: 'github_access_token',
url: 'https://github.com/hooyn/GraftingProj.git'
}
}
}
}
자동으로 빌드하도록 아래와 같은 코드를 추가하였습니다.
pipeline{
agent any
stages{
stage('Checkout'){
steps{
git branch: 'master',
credentialsId: 'github_access_token',
url: 'https://github.com/hooyn/GraftingProj.git'
}
}
stage('Build') {
steps {
bat "./gradlew clean build"
}
}
}
}
오류 해결
지속적으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.
java.io.IOException: CreateProcess error=2, 지정된 파일을 찾을 수 없습니다
기존 코드는 아래와 같았습니다.
pipeline{
agent any
stages{
stage('Checkout'){
steps{
git branch: 'master',
credentialsId: 'github_access_token',
url: 'https://github.com/hooyn/GraftingProj.git'
}
}
stage('Build') {
steps {
sh "./gradlew clean build" #-> bat "./gradlew clean build"
}
}
}
}
Build 부분에 sh를 통해서 명령을 입력했으나, sh를 bat으로 변경하였더니 오류를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.
결과: Windows에서 sh를 사용할 수 없다고 합니다.
sh는 Windows에서 지원하지 않아 bat을 사용하거나 설치해야 합니다. [자세한 내용]
빌드 파일 생성 위치
Dashboard > Jenkins 관리 > Configure System(시스템 설정)에서 홈 디렉터리를 보시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. (변경가능)
{홈 디렉터리}/workspace/jenkins-project-name/build/libs 에 보시면 .jar 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**Windows 탐색기를 통해서 확인하실 때는 보기 옵션에서 숨긴 항목 표시를 체크 해주시면 됩니다.**
이제는 자동으로 빌드 파일도 생성했으니, 자동 배포까지 해보겠습니다.
감사합니다.
728x90
반응형
'CI.CD > Jenkin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enkins] Jenkins - Git 연동 (1) | 2022.12.06 |
---|---|
[Jenkins] Jenkins 설치 - Windows (0) | 2022.12.06 |